대박 실적낸 SK하이닉스, HBM 덕에 AI 시장 장악

2025-01-24 11:37

SK하이닉스가 인공지능(AI) 시장 확산과 고대역폭메모리(HBM) 수요 급증에 힘입어 지난해 역대 최대 실적을 기록했다. 회사는 2024년 매출 66조 1930억 원, 영업이익 23조 4673억 원, 당기순이익 19조 7969억 원을 달성하며 창사 이래 최대 매출과 영업이익을 기록했다. 영업이익은 2018년 반도체 호황기 영업이익(20조 8438억 원)을 넘어섰고, 매출은 2022년보다 21조 원 이상 증가했다.

 

특히 4분기 실적이 두드러지는데, 영업이익이 8조 828억 원으로 전년 대비 2236% 증가하며 영업이익률이 41%에 달했다. 매출은 75% 증가했고, 당기순이익은 흑자로 전환했다. 이로 인해 SK하이닉스는 삼성전자를 제치고 국내 1위 기업인 삼성전자의 4분기 영업이익을 처음으로 초과했다.

 

 

회사의 실적을 견인한 주역은 HBM이다. SK하이닉스는 HBM 매출을 대폭 증가시켰고, 4.5배 이상 늘어난 HBM 매출이 전체 D램 매출의 40% 이상을 차지했다. HBM3E 12단 제품 공급을 시작한 4분기에는 D램 평균판매단가(ASP)가 10% 증가하며 최대 분기실적을 달성했다. 

 

올해도 HBM 수요는 강하게 유지될 것으로 전망되며, SK하이닉스는 HBM3E와 HBM4의 공급 확대를 위해 생산 라인을 강화할 계획이다. 6세대 HBM인 HBM4는 2026년부터 본격 생산될 예정이며, 고객사와의 장기계약을 통해 공급 물량을 확보할 계획이다.

 

SK하이닉스는 또한 HBM 수요 증가에 따라 AI 관련 제품 수요의 급증을 예상하고 있다. 특히 생성형 AI 서비스와 AI 에이전트 출시가 확대되며 고성능 HBM과 고용량 서버 D램의 수요도 지속적으로 증가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이에 따라 HBM 공급 물량을 내년 상반기까지 확보하고, 2026년부터는 6세대 HBM을 공급할 준비를 마친다고 밝혔다.하지만 D램 부문은 전방 수요 부진과 고객사의 재고 조정에 따라 약세를 보일 전망이다. 특히, 중국 업체들의 DDR4 제품 공급 확대가 예상되며, SK하이닉스는 DDR5 및 LPDDR5 제품에 집중할 계획이다. DDR4와 LPDDR4 제품의 수요는 줄어들 것으로 예상되며, 회사는 수익성 중심으로 생산과 재고 관리를 강화할 방침이다.

 

낸드 부문은 데이터센터용 eSSD 매출의 급증에도 불구하고 PC 및 모바일용 제품의 수요 부진이 지속될 전망이다. 

 

SK하이닉스는 낸드 제품의 수익성을 유지하기 위해 탄력적인 투자와 생산 기조를 유지할 계획이다 .SK하이닉스는 2023년 전체 투자를 HBM과 인프라 강화에 집중할 예정이며, 올해 인프라 투자 규모를 확대할 계획이다. 

 

또한, 주주가치 제고를 위해 배당금도 1305원으로 결정했으며, 배당금 총액은 8996억 원에 달한다. 2025년부터 2027년까지는 잉여현금흐름(FCF)의 50%를 추가 배당에 사용할 계획이다.

 

결국 SK하이닉스는 올해도 AI와 HBM 시장에서의 성장을 이어가며, D램과 낸드 시장에서는 신중한 대응을 통해 수익성을 극대화할 방침이다.

 

황이준 기자 yijun_i@trendnewsreaders.com

컬쳐라이프

日 강탈한 경복궁 유물, 100년 만에 고국의 품으로..

추정되는 편액을 환수했다고 3일 밝혔다. 해당 편액은 27일 오전 10시 국립고궁박물관에서 언론에 공개될 예정이다.경복궁 선원전은 조선시대 궁궐 내에서 왕들의 어진을 봉안하고 의례를 거행하던 신성한 공간이었다. 조선은 충과 효를 통치의 근본으로 삼았고, 선원전은 궁궐 내에서 가장 중요한 전각 중 하나로 여겨졌다. 선원전은 1444년에 창건되었지만 임진왜란 중 전소되었으며, 1695년에는 창덕궁에 새로운 선원전이 마련되어 어진을 봉안했다. 경복궁 선원전은 고종 대에 재건되어 1868년에 다시 세워졌다.하지만 일제강점기인 1932년, 조선총독부는 선원전을 철거하고 이토 히로부미를 기리기 위한 박문사를 건립하며, 선원전은 사라졌다. 이 당시 선원전의 편액도 행방을 알 수 없게 되었다. 국외소재문화재재단은 2023년 11월, 일본의 한 경매에 선원전 편액이 출품될 것이라는 정보를 입수했다. 이에 국가유산청과 재단은 즉각 경매 중지를 요청하고 협상에 나섰다. 재단 관계자는 “소장자 측에 이 유물은 조선 왕실의 유물이므로 반드시 한국에 돌아와야 한다고 설득한 끝에, 라이엇게임즈의 후원으로 무사히 편액을 들여올 수 있었다”고 말했다.일본 경매사 측은 편액의 출품과 관련하여, 1910년부터 1916년까지 초대 조선 총독을 지낸 데라우치 마사타케가 경복궁 선원전을 해체해 고향인 야마구치로 이송했다는 설명을 덧붙였다. 이 경매사는 “해체된 선원전 건물은 1942년 태풍으로 소실되었고, 그 과정에서 붕괴된 건물의 해체 작업을 하던 직원이 편액을 발견해 보관해왔다”고 전했다. 그러나 재단과 국가유산청은 이 설명에 대해 “소장자 측의 의견일 뿐, 근거가 부족하다”는 입장을 밝혔다.환수된 선원전 편액은 가로 3.12m, 세로 1.4m 크기로, 검은 바탕에 금빛으로 ‘선원(璿源)’이라는 글자가 새겨져 있다. ‘선원’은 중국 역사서인 ‘구당서’에서 왕실을 ‘옥의 근원’으로 비유한 데서 유래한 뜻이다. 이 편액은 1868년 고종 대에 재건된 경복궁 선원전에서 사용된 것으로 추정된다. 국립고궁박물관은 편액에 사용된 안료를 과학적으로 분석한 결과, 경복궁과 창덕궁의 선원전 증건 공사와 관련된 기록들과 성분이 일치한다는 결과를 얻었다. 또한, 고종 4년(1867년)에 작성된 ‘승정원일기’에 따르면, 선원전 편액의 글씨는 조선 후기 문신 서승보(1814~1877)가 쓴 것으로 기록돼 있어, 이번 환수된 편액의 서체도 서승보의 필체로 추정된다.이번에 돌아온 선원전 편액은 라이엇게임즈의 도움으로 고국에 돌아온 7번째 유산이다. 라이엇게임즈는 13년째 해외에 있는 우리 문화유산의 환수를 후원하고 있으며, 지금까지 ‘석가삼존도’와 ‘문조비 신정왕후 왕세자빈 책봉 죽책’ 등 여러 유물들이 고국 땅을 밟는 데 기여했다.경복궁 선원전 편액의 환수는 100년 만에 이루어진 뜻깊은 일로, 한국의 문화유산을 지키고 회복하는 중요한 사례로 남게 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