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1년 만의 귀환, '한류 여왕' 이영애, 연극 무대에서 '헤다 가블러'로 부활

2025-01-08 12:28

 배우 이영애가 21년 만에 연극 무대로 돌아온다. 

 

엘지아트센터는 8일 이영애가 오는 5월 7일부터 6월 8일까지 공연되는 연극 '헤다 가블러' 주연으로 캐스팅됐다고 밝혔다. 1993년 예술의전당 자유소극장 개관 기념작 '짜장면'(김상수 작·연출) 이후 오랜만의 연극 무대 복귀다.

 

영화 '공동경비구역 JSA', '봄날은 간다', '친절한 금자씨' 등 스크린에서 독보적인 존재감을 발휘하며 '충무로의 여왕'으로 군림했던 이영애. 드라마 '대장금'으로 '한류 열풍'을 이끌었고, '마에스트라'를 통해 또 한 번의 연기 변신에 성공하며 저력을 보여준 그가 선택한 차기작은 바로 연극 '헤다 가블러'다.

 

이영애가 연기할 '헤다 가블러'는 노르웨이 극작가 헨리크 입센(1828~1906)의 대표작 중 하나로, 19세기 말 가부장적인 사회에서 억압된 삶을 사는 여성의 비극적인 운명을 그린 작품이다. 뛰어난 미모와 명석한 두뇌, 부유한 집안까지 모든 것을 갖춘 헤다 가블러. 하지만 그녀는 자신에게 주어진 삶에 끊임없이 갑갑함과 좌절감을 느끼며, 결국 파멸의 길을 선택하게 된다.

 

이번 공연은 지난해 배우 전도연, 박해수 주연의 연극 '벚꽃 동산'을 성공적으로 선보였던 엘지아트센터가 직접 제작을 맡아 더욱 기대를 모은다. 연출은 '지상의 여자들', '키리에' 등을 통해 섬세하고 감각적인 연출 세계를 인정받은 전인철이 맡아 이영애와 함께 새로운 '헤다 가블러'를 만들어낼 예정이다.

 


흥미로운 점은 국립극단 역시 5월 8일부터 6월 1일까지 같은 작품을 무대에 올린다는 것이다. 특히 2012년 명동예술극장에서 초연 당시 전회 매진을 기록하며 화제를 모았던 이 작품에서 헤다 가블러 역을 맡아 대한민국연극대상 여자연기상, 동아연극상 여자연기상을 휩쓸었던 배우 이혜영이 다시 한번 무대에 오른다.

 

이로써 한국 연극계를 대표하는 두 명의 여배우, 이영애와 이혜영이 같은 작품, 같은 역할로 다른 무대에서 관객들을 만나게 되었다. 20년이 넘는 나이 차이만큼이나 다른 매력을 지닌 두 배우가 그려낼 '헤다 가블러'는 과연 어떤 모습일까. 섬세한 감정 연기와 카리스마 넘치는 연기력으로 사랑받는 두 배우의 연기 대결에 벌써부터 연극계 안팎의 기대가 뜨겁다.

 

서성민 기자 sung55min@trendnewsreaders.com

컬쳐라이프

日 강탈한 경복궁 유물, 100년 만에 고국의 품으로..

추정되는 편액을 환수했다고 3일 밝혔다. 해당 편액은 27일 오전 10시 국립고궁박물관에서 언론에 공개될 예정이다.경복궁 선원전은 조선시대 궁궐 내에서 왕들의 어진을 봉안하고 의례를 거행하던 신성한 공간이었다. 조선은 충과 효를 통치의 근본으로 삼았고, 선원전은 궁궐 내에서 가장 중요한 전각 중 하나로 여겨졌다. 선원전은 1444년에 창건되었지만 임진왜란 중 전소되었으며, 1695년에는 창덕궁에 새로운 선원전이 마련되어 어진을 봉안했다. 경복궁 선원전은 고종 대에 재건되어 1868년에 다시 세워졌다.하지만 일제강점기인 1932년, 조선총독부는 선원전을 철거하고 이토 히로부미를 기리기 위한 박문사를 건립하며, 선원전은 사라졌다. 이 당시 선원전의 편액도 행방을 알 수 없게 되었다. 국외소재문화재재단은 2023년 11월, 일본의 한 경매에 선원전 편액이 출품될 것이라는 정보를 입수했다. 이에 국가유산청과 재단은 즉각 경매 중지를 요청하고 협상에 나섰다. 재단 관계자는 “소장자 측에 이 유물은 조선 왕실의 유물이므로 반드시 한국에 돌아와야 한다고 설득한 끝에, 라이엇게임즈의 후원으로 무사히 편액을 들여올 수 있었다”고 말했다.일본 경매사 측은 편액의 출품과 관련하여, 1910년부터 1916년까지 초대 조선 총독을 지낸 데라우치 마사타케가 경복궁 선원전을 해체해 고향인 야마구치로 이송했다는 설명을 덧붙였다. 이 경매사는 “해체된 선원전 건물은 1942년 태풍으로 소실되었고, 그 과정에서 붕괴된 건물의 해체 작업을 하던 직원이 편액을 발견해 보관해왔다”고 전했다. 그러나 재단과 국가유산청은 이 설명에 대해 “소장자 측의 의견일 뿐, 근거가 부족하다”는 입장을 밝혔다.환수된 선원전 편액은 가로 3.12m, 세로 1.4m 크기로, 검은 바탕에 금빛으로 ‘선원(璿源)’이라는 글자가 새겨져 있다. ‘선원’은 중국 역사서인 ‘구당서’에서 왕실을 ‘옥의 근원’으로 비유한 데서 유래한 뜻이다. 이 편액은 1868년 고종 대에 재건된 경복궁 선원전에서 사용된 것으로 추정된다. 국립고궁박물관은 편액에 사용된 안료를 과학적으로 분석한 결과, 경복궁과 창덕궁의 선원전 증건 공사와 관련된 기록들과 성분이 일치한다는 결과를 얻었다. 또한, 고종 4년(1867년)에 작성된 ‘승정원일기’에 따르면, 선원전 편액의 글씨는 조선 후기 문신 서승보(1814~1877)가 쓴 것으로 기록돼 있어, 이번 환수된 편액의 서체도 서승보의 필체로 추정된다.이번에 돌아온 선원전 편액은 라이엇게임즈의 도움으로 고국에 돌아온 7번째 유산이다. 라이엇게임즈는 13년째 해외에 있는 우리 문화유산의 환수를 후원하고 있으며, 지금까지 ‘석가삼존도’와 ‘문조비 신정왕후 왕세자빈 책봉 죽책’ 등 여러 유물들이 고국 땅을 밟는 데 기여했다.경복궁 선원전 편액의 환수는 100년 만에 이루어진 뜻깊은 일로, 한국의 문화유산을 지키고 회복하는 중요한 사례로 남게 될 것이다.